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일절 국경일 태극기 다는 법

by 하이루22 2023. 3. 1.

오늘이 삼일절이라 태극기를 달까? 말까? 어떻게 달아야 할까? 고민되시죠? 삼일절에는 태극기를 어떻게 달아야 되는지, 매 국경일마다 태극기를 어떻게 달아야 하는지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태극기를 다는 위치, 태극기를 다는 시간, 태극기 보관 방법, 세탁 방법, 폐기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태극기-다는-법-썸네일
썸네일

 

 

태극기 다는 법

 

태극기-다는법

 

1. 경축일 및 평일

경축일 및 평일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야 합니다. 해당되는 날짜는 5대 국경일인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과 국군의 날, 타 정부지정일입니다.

 

2. 조의를 표하는 날

조의를 표하는 날에는 깃면의 너비(세로)만큼 내려서 달아야 합니다. 완전한 조기를 달 수 없는 경우에는 바닥 등에 닿지 않도록 최대한 내려서 달도록 해야 합니다. 해당되는 날짜는 현충일, 국장 기간, 국민장일 및 타 정부지정일입니다.

 

참고로 현충일은 6월 6일로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들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국장 기간은 국가 원수를 역임했거나 국가, 사회에 현저한 공적을 남긴 사람이 죽었을 때, 국가 명의로 거행하는 장례의식입니다. 국민장일은 국가, 사회에 뚜렷한 공적을 남기고, 국민의 추앙을 받는 사람에게 국민 전체의 이름으로 베푸는 장례의식입니다.

 

태극기 다는 곳

 

1. 단독(공동)주택

집 밖에서 봤을 때 대문의 중앙이나 왼쪽에 태극기를 달아야 합니다.

 

2. 건물 주변

전면 지상의 중앙이나 왼쪽, 옥상이나 차양시설 위의 중앙, 또는 주 출입구의 위 벽면 중앙에 태극기를 달아야 합니다.

 

3. 차량

전면에서 봤을 때 왼쪽에 태극기를 달아야 합니다.

 

※건물, 차량의 구조 등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태극기 다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태극기 다는 시간

일반인들은 매일, 24시간 달아도 됩니다. 그리고 야간에는 적절한 조명을 해주셔야 합니다. 참고로 학교나 군부대는 낮에만 태극기를 달아야 합니다. 태극기를 매일 게양, 강하하는 경우에는 오전 7시에 달아야 하고, 3월~10월까지는 오후 6시, 11월~2월까지는 오후 5시에 내려야 합니다.

 

태극기 보관, 세탁, 폐기 방법

 

1. 태극기 보관 방법

먼저 건괘 모서리(왼쪽 위)와 감괘 모서리(오른쪽 위)를 잘 맞추어 접고, 태극기 보관통의 크기에 맞춰서 잘 접습니다. 태극기 보관통이 원통일 경우에는 태극기 크기만 한 깨끗한 종이를 태극기 위에 올려놓고 동글동글 굴려서 말아줍니다. 적당한 크기로 만든 후에 보관통에 넣어 보관하면 됩니다.

 

2. 태극기 세탁 방법

태극기가 많이 더러워졌다면 손빨래를 하시면 됩니다. 손빨래 후 많이 구겨졌다면 다림질을 해서 보관하시면 됩니다.

 

3. 태극기 폐기 방법

만약 너무 더러워져 다시 사용하기 힘들다면 일반쓰레기로 버릴 수도 있는데요. 절대 그러시면 안 됩니다. 국기법 위반사항에 들어갈 수 있어서 주의하셔야 해요. 그래서 소각해서 버리거나 주민센터, 시청, 구청 등의 민원실이나 국기수거함에 넣어 버리시면 됩니다. 정부에서는 태극기수거함을 설치해서 버릴 수 있도록 고지하고 있다 하니 꼭 알아두세요.

 

지금까지 국경일에 태극기 다는 법부터 태극기 폐기 방법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이 삼일절이니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